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35

nRF52 개발환경 구축하기 - SES를 설치하고 LED를 밝혀보자 시작하기 blinky 프로젝트를 실행시키고 컴파일하기 위해서 필요한 SEGGER Embedded Studio IDE를 먼저 다운로드해보자. 개발하려는 개발환경은 Windows 10 64비트이므로 Embedded Studio for ARM, Windows, 64-bit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도록 하자. 기본 설정 그대로 아무것도 변경하지 않고 설치를 진행하였고 설치가 완료되면 바로 SES를 실행시켜보도록 하자. 갑자기 경고 문구가 뜨면서 뭐라고 적혀있지만 당황하지 말고 Continue를 눌러보면 넘어가진다. 첫 실행화면에 "Hellow World!"가 적혀있다. 일단 컴파일이 잘 되는지 테스트해보자. 좌측에 보이는 Project Explorer에서 Project 'Hello'를 우클릭하면 콘텍스트 메뉴가 뜨.. 2020. 12. 31.
nRF52 개발환경 구축하기 - SDK를 다운로드 받아보자 시작하기 시작하기에 앞서 진행되는 모든 개발 과정은 Windows 10 64비트에서 진행됨을 알립니다. 노르딕에서는 프로그래머들의 수월한 개발을 위하여 SDK와 예제에 대한 설명을 영어로 제공해주고 있다. 하지만 영어를 못하는 나에게 노르딕에서 제공하는 예제는 막막한 두려움이 먼저 앞서게 한다. 두려움을 잠깐 덮고 일단 SDK를 다운로드해보도록 하자. 제공되는 SDK의 버전이 다양하다. 하지만 현 시간 기준으로 가장 최신 버전인 17.0.2를 선택하도록 하겠다. 밑으로 내리다 보면 SoftDevice라는 것들이 보인다. 뭔지 모르겠다. 노르딕 사이트를 뒤져보니 내용은 다음과 같다. SoftDevice는 Nordic Semiconductor에서 개발한 무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사전 컴파일된 바이너리 소프트.. 2020. 12. 30.
nRF52 BLE를 개발하는 프로그래머를 위한 안내서 시작하기 블루투스 개발을 시작했다. 수없이 들어봤고 사용해봤지만 개발은 처음이다. 완전 초보다. 지금도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제품이 키보드, 마우스, 이어폰, 스피커 등 다양하지만 블루투스 통신 방법에 대해선 전혀 모른다. 그래서 블루투스 개발을 시작하기로 했다. 잠깐 구글링을 해보니 BLE를 지원하는 Nordic Semiconductor(이하 노르딕)의 nRF52 계열 SoC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그래서 nRF52832를 사용하기로 했다. 노르딕 사이트에서 자세한 정보를 한 번 살펴봤다. 역시 잘 모르겠다. 카테고리에서 nRF52 DK 항목에 들어가 본다. 버튼과 LED, I/O 포트도 있고 SEGGER J-link도 들어있다. 또한, 펌웨어 소스 코드와 회로도 등도 제공해준단다. 그렇다면 nRF5.. 2020. 12. 29.
728x90
반응형